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2027년부터 7급 PSAT 도입, 9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체 등 지방공무원 시험이 대대적으로 개편됩니다. 빠르게 개편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시험 대폭 개편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시험 제도가 대폭 개편됩니다. 이번 개편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방공무원 임용령' 및 '지방연구지도직규정' 일부개정안을 통해 시행되며, 수험생들의 준비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방공무원 7급: 국어 과목 → PSAT 대체

     

     현재 지방공무원 7급 공채시험에서 시행 중인 국어 과목이 2027년부터 PSAT(Public Service Aptitude Test)으로 전환됩니다. 이는 기존 국어 시험이 암기 위주의 평가로 인해 직무와의 연관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아온 데 따른 조치입니다.

     

     PSAT는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영역으로 구성되어 공직 수행에 필수적인 논리력, 분석력, 상황판단능력 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PSAT의 도입으로 수험생들은 단순 지식 암기보다 문제 해결력과 종합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시험 절차 역시 변경됩니다. 기존에는 필기시험(1·2차 병합)과 면접(3차)으로 2단계였지만, 2027년부터는 1차 PSAT, 2차 과목 필기시험, 3차 면접으로 3단계로 세분화됩니다. 특히, 1차 PSAT는 선발예정 인원의 10배수 범위 내에서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3차 면접에서 불합격한 수험생은 다음 시험에서 1차 PSAT를 면제받는 제도가 신설되어 PSAT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지방공무원 9급: 한국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체

     

     7급 시험에서 이미 시행 중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체가 9급에도 확대 적용됩니다. 2027년부터 9급 공채시험의 한국사 과목은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3급)으로 대체됩니다.

     

     이로 인해 수험생들은 별도로 한국사 과목을 준비하기보다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집중하여 자격을 취득하면 됩니다. 이는 한국사 과목 준비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합격자 결정방식도 개선됩니다.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기존에는 모두 최종 합격 처리했으나 앞으로는 2차 과목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 외 제도 개선 사항

     

     수험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도 있습니다. 신규 채용 시 필수로 제출하던 '채용 신체검사 결과서' 대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채용 건강검진 대체 통보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기술직렬 명칭을 '과학기술직렬'로 변경하는 등 공직 내 과학기술 인재를 우대하는 방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론

     

    이번 지방공무원 시험 개편은 수험생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직무역량에 더 부합하는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변화입니다. PSAT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수험 전략을 새롭게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개정안이 자치단체에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고 지방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도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개정안에 대한 의견은 국민참여입법센터를 통해 제출할 수 있습니다.

     

     

     

    요약

    •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9급 공채시험의 한국사 과목은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3급)으로 대체
    • 동점자 발생시 2차 과목(직류별 2과목)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 처리 개선
    • 2027년부터 지방공무원 7급 공채시험의 국어 과목이 공직적격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이하 'PSAT')로 대체
    • '채용 신체검사 결과서(유로 발급)'를 '채용 건강검진 대체 통보서(무료 발급)' 대체 가능

     


    이상 정보 공유 글입니다.


     

     

    반응형